안녕하세요. 오늘은 원자재의 가격 변동을 읽는 핵심 지표인 코이마지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최근에 글로벌 무역 환경의 빠른 변화로 인하여 원자재 가격의 흐름을 면밀히 파악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이 중에서 특히 수입원자재는 국내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요. 이를 분석하는 핵심 지표가 바로 "코이마지수"입니다.
코이마지수란?
"코이마지수"의 사전적 의미는 " 한국 수입업 협회가 수입 원자재 가격의 전반적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만든 지표"를 의미합니다.
쉽게 말씀드리자면, "수입 원자재 물가의 흐름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지표"라고 이해하시면 되실 것 같습니다.
이제 코이마지수의 주요 특징 4가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코이마지수의 주요 특징 4가지
1. 주요 식품 및 산업 원자재(원유, 대두, 원면 등) 가격을 기반으로 측정함
2. 가격 변동을 종합할 때 달러를 기준으로 함
3. 1995년 12월의 수입 원자재 가격의 기준값을 100으로 설정함
ex) 현재 코이마지수가 200이라면 1995년 12월과 비교하였을 때 100% 상승했다는 의미
4. 2011년부터 56개 품목으로 확장함
참고: 원래 초기에는 30개 품목을 대상으로 지수를 산정하였으나 2011년부터 56개로 분석 범위를 확대함.
현재는 매달 말일 기준으로 가격을 분석하고 다음 달 초에 발표가 납니다.
코이마지수 발표 주기와 활용법
코이마지수의 발표 주기는 매월 말일 데이터를 집계하여 다음 달 초에 발표되며 매월 1회 발표됩니다. 코이마지수 공식 웹사이트나 언론 보도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십니다.
코이마지수 공식웹사이트:
KOIMA 한국수입협회 국제원자재가격정보
2025.02.04 무역·유통 카드뉴스
www.koimaindex.com
참고: 코이마지수의 측정방식
코이마지수는 수입 원자재 가격의 변동을 계산하는 과정에서 이전 달과 비교하여 가격이 얼마나 변하였는지 분석하고
국제 시장에서 원자재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원자재의 가격의 흐름을 예측하는 방식으로 측정하게 됩니다.
코이마지수의 활용 방법(예시)
기업의 경우: 가격 상승이 예상되면 미리 구매하여 비용을 절감한다던지, 가격 변동성을 예측하여 원자재의 재고를 확보하는 등 다양한 전략을 취할 수 있음
투자자의 경우: 관련 업종의 주가를 예측하거나 물가 상승 가능성을 예측해 볼 수 있음
국가기관의 경우: 수입 원자재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준비를 할 수 있음
마무리하며
여러분들도 코이마지수를 자주 활용하여 시장에 대한 전략과 다가오는 환경에 대해서 대응하는 등 적극적으로 활용해 보시기를 바라겠습니다!